케이팝의 확장, 국악과 뮤지컬 (김봉석 문화평론가) 첨부이미지 : 그림9.png

이제 케이팝은 한국의 대중음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너 컬처의 한 영역, 대중음악의 한 장르로 확장되었다. 케이팝을 노래하는 뮤지션이 한국 국적이 아니라도 아시아를 넘어 미국이나 아프리카에서도 나올 수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 시작되는 케이팝의 스펙트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 고유의 국악을 변주하거나 원류로 하는 개성적인 음악이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서양의 뮤지컬을 한국에서 다듬고 만들어낸 창작 뮤지컬이 해외로 뻗어가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뮤지컬 <명성황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빨래> 등은 국내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창작 뮤지컬이 해외의 관객에게 인기를 얻은 것은, 2천년대 초반 1차 한류가 시작되며 한국을 찾은 일본 팬들이 영화와 드라마만이 아니라 뮤지컬로 확장되면서라고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 좋아하는 스타의 뮤지컬 공연을 보기 위한 단기 방문도 점차 많아졌다. 신성우, 조승우 등 뮤지컬 스타들을 보러 오는 일본 등의 해외 관객이 늘어난 것이다. 또한 1997년부터 시작된 넌버벌 퍼포먼스 공연 <난타>는 한국을 찾은 외국인에게 가장 많은 인기를 얻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난타>를 찾은 외국 관객은 약 1150만명이며, 그중 일본인은 250만명이다. 전 세계 58개국 318개 도시에서 열린 <난타> 공연은 누적 관객 1400만명을 기록하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난타 공식 홈페이지

 

한국 뮤지컬은 시장 규모 4천억원이 넘는 세계 4위권이고, 매해 10퍼센트 후반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국내 공연 시장의 80%가 뮤지컬이다. 뛰어난 노래와 퍼포먼스, 무대연출로 관객을 사로잡는 뮤지컬은 케이팝으로 세계를 뒤흔든 한국의 매력을 잘 보여주는 콘텐츠다. 역사물인 <명성황후>와 <영웅>, 소설 원작인 <서편제>와 <태백산맥>, 외국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프랑켄슈타인> , 그리고  순수 창작 <여신님이 보고계셔>, <형제는 용감했다> 등 한국의 뮤지컬은 브로드웨이 못지않은 다양한 소재와 스타일로 세계의 대중에게 퍼져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광주>가 해외 쇼케이스 공연을 시도하고, 드라마 원작인 <사랑의 불시착>이 일본에서 공연하며 후지TV와 중계 계약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외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좌) 뮤지컬 <사랑의 불시착> 공연 모습, (우) 뮤지컬 <광주> 해외 쇼케이스 포스터 (출처=에이투지엔터테인먼트, T2N미디어 / 라이브, 극공작소마방진)

 

한국만의 매력을 보여주는 ‘한국적’인 케이팝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국악 퓨전 밴드인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는 2020년 발표되어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현대무용 그룹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와 함께 공연한 ‘온스테이지 2.0’ 영상이 유튜브 조회 수 1천7백만회를 넘었고, <범 내려온다>를 활용한 한국 관광 홍보 영상의 조회 수는 2억이 넘었다. 2003년 유네스코에서 ’인류 구전 및 세계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한 판소리를 재해석하여 개성적이고 감각적인 스타일로 재구성된 <범 내려온다>는 ‘한국적’인 요소와 특성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보여줬다. 절대로 다른 나라의 뮤지션이 만들 수 없고, 동시에 보편적인 리듬감과 퍼포먼스로 모두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한 노래다.

이날치 '범내려온다'ⓒ네이버 온스테이지2.0

 

이날치 이전에도 국악을 원류로 하거나, 변주한 음악을 만든 뮤지션은 끊이지 않았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활동한 씽씽밴드는 이날치의 장영규와 이철희, 무형문화재 57호인 경기민요 이수자 이희문 등이 함께하며 민요와 민속 음악을 기반으로 독특한 퓨전 음악을 발표했다. 이희문은 현재 ‘오방신과’ 라는 국악 퓨전 밴드를 이끌고 있다, 에스닉 퓨전을 표방하는 ‘두번째 달’은 세계의 민속 음악과 재즈, 국악의 판소리와 민요 등을 접목하여 넓은 스펙트럼의 음악을 구사한다. 2005년 결성한 잠비나이는 해금과 거문고, 태평소 연주에 서구적인 록음악이 조화를 이루며 독창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잠비나이는 해외공연에서 더욱 열광적인 반응을 얻는 밴드이며, 블랙핑크가 초청받은 미국 최고의 음악 축제인 SXSW 무대에도 자주 올랐다.

 

 

 

 

케이팝의 선두에 있는 BTS도 국악을 활용한 노래가 있다. <아이돌>은 국악의 리듬과 악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뮤직비디오에도 한국적인 건축과 문양을 다양하게 표현했다. BTS 멤버 슈가는 조선의 군례악인 대취타를 힙합과 결합시킨 <대취타>를 발표했다.

(출처= BTS '아이돌' 뮤직비디오 캡처)

 
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말이 한때 유행했다.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주류 문화의 장점을 따르는 것만이 아니라 민족과 국가 고유의 개성을 살려서 틈새를 파고들어야 주목받을 수 있다는 말이었다. 지금은 한국의 BTS와 <기생충>, <오징어게임>이 주류 문화의 정상에 올랐고, 케이컬처는 변방의 독특한 문화에서 주류 문화의 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는 중이다.

영화<성난 사람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어 높은 평가를 받은, 스티븐 연 주연의 <성난 사람들>처럼, 단순한 주목이 아니라 수많은 주류 콘텐츠 사이에서 자기만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서 ‘한국적’인 개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케이팝의 국악 퓨전과 창작 뮤지컬의 활발한 해외 진출은 그런 점에서 더욱 돋보이고, 빛난다.

 

 

김봉석
대중문화 평론가, <씨네21>, <브뤼트>, <에이코믹스> 등의 매체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를 거쳤다. 어린 시절부터 영화, 소설, 만화를 좋아했고 어른이 되어서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자연스레 대중문화평론가, 작가로 활동하며 『나의 대중문화 표류기』 『하드보일드는 나의 힘』 『내 안의 음란마귀』 『좀비사전』 『탐정사전』 『나도 글 좀 잘 쓰면 소원이 없겠네』 등을 썼다.